트래픽 편차가 심해
유동적인 트래픽 증감이 필수인 고객
온라인 이벤트 등으로
동시 접속량이 많은 고객
고품질의 미디어 게시 및
배포가 필요한 고객
경제적으로 트래픽 비용을
관리하고 싶은 고객
구분 | IDC 이용시 | CDN 이용시 |
---|---|---|
전송 속도 |
서로 다른 ISP 경유에 따른 속도저하 발생 (ISP: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 KT, SKT, LGU+ 등) |
- GSLB를 통한 최적 경로 전송 - SK, KT, LG 3사 IDC에 다수의 캐시 서버를 두어 최단 경로로 이미지를 분산 처리 |
안정성 | IDC 장애 시 서비스 중단 |
- 분산된 CDN 서버 활용으로 안정성 확보 - 고객사의 서버(오리진)에 장애가 발생해도 CDN 캐시 서버에서 빈도가 높은 이미지를 전송하므로 서비스를 계속 유지 |
시스템 부하 | 고객이 증가하여 트래픽이 갑자기 증가할 경우 고객사 서버에 I/O 집중되어 부하 증가 및 다운 현상 발생 | CDN 서버를 통한 데이터 전송으로 고객사 서버의 부하 감소 |
인프라 확장 | 트래픽 및 사용자 증가에 따라 인프라 증설 비용(H/W, N/W) 및 시간 발생 | 트래픽에 따른 CDN 서버 배정으로 유연한 대처 가능 (최소한의 인프라 확장 비용) |
비용 절감 | 고비용의 IDC 회선 비용 발생 |
- IDC 회선 비용 대비 합리적인 회선 비용 - 일 피크치의 월 평균 기준으로 과금으로 진행하여 비용 절감 - 고객사에서 자체적으로 서버, 랙, 방화벽, 운영 인력등의 인프라 관리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 절감 |
통계 관리 | 객관적인 사용량 측정이 어려워 불필요한 비용 발생 가능성 | 트래픽 관리 시스템 제공으로 다양한 통계 관리 및 신속한 대응 가능 |
내선 1기술운영팀|내선 2영업팀|내선 3경영지원팀